egg.silver 2023. 8. 16. 00:32

오늘 배운 것들

 

- 알고리즘 문제 접근 방식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 차근 차근 로직을 생각한 후, 로직에 사용되는 내장 함수 등을 검색을 통하여 알아본다.

 

어떤 정수들이 있습니다. 이 정수들의 절댓값을 차례대로 담은 정수 배열 absolutes와 이 정수들의 부호를 차례대로 담은 불리언 배열 sig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실제 정수들의 합을 구하여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absolutes의 길이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absolutes의 모든 수는 각각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signs의 길이는 absolutes의 길이와 같습니다.signs[i] 가 참이면 absolutes[i] 의 실제 정수가 양수임을, 그렇지 않으면 음수임을 의미합니다.

접근 방법
1. absolutes와 signs 배열을 합쳐 string 배열로 만든다

-> 1-1. signs에 삼항 연산자를 이용하여 true면 +로, false면 -를 반환한다.

-> 1-2. absolutes와 signs 배열을 합쳐 string 배열로 만든다

 

2. 배열를 숫자형태로 바꾼다

 

3. 배열을 모두 합한다.

 

대문자와 소문자가 섞여있는 문자열 s가 주어집니다. s에 'p'의 개수와 'y'의 개수를 비교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return 하는 solution를 완성하세요. 'p', 'y' 모두 하나도 없는 경우는 항상 True를 리턴합니다. 단, 개수를 비교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는 구별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s가 "pPoooyY"면 true를 return하고 "Pyy"라면 false를 return합니다.
문자열 s의 길이 : 50 이하의 자연수
문자열 s는 알파벳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접근 방법

1. 대소문자 구분은 하지 않기 때문에 모두 소문자 혹은 대문자로 변환 -> toLowerCase() 사용

1-1. 이때 string를 배열로 바꾼다.

2. 필터 함수를 사용하여 p와 같은 경우 배열에 추가하도록 함

3. 마찬가지로 필터 함수를 사용하여 y와 같은 경우 배열에 추가하도록 함

4.두 배열의 length가 같은지 비교함

5. true 혹은 false를 반환함

 

함수

function s-> 식별자 (파라미터 = 매개변수 ) {

       //함수 바디

       return -> 리턴 우측에 있는 값을 반환한다.

}

 

Filter 함수

arr.filter( ( item, index, arr ) => {

      return ->return 뒤에 오는 값이 true일 경우,  해당 item를 새로운 배열에 추가한다.

})

Map 함수

arr.map ( ( ) => {

     return -> return 뒤에 오는 값을 반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