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5 객체 디스트럭처링 할당 (구조분해할당) 객체 디스트럭처링 할당 : 객체의 각 프로퍼티를 객체로부터 추출하여 1개 이상의 변수에 할당한다. : 이때 할당 기준은 프로퍼티 키, 즉 순서는 의미가 없고 선언된 변수 이름과 프로퍼티 키가 일치하면 할당된다. const user = { firstName: 'egg', lastName: 'Lee' }; const { lastName, firstName } = user; //프로퍼티 키를 기준으로 디스트럭처링 할당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순서는 의미가 없다. console.log(firstName, lastName); // egg Lee 할당 연산자 왼쪽에 프로퍼티 값을 할당받을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 이때 변수는 객체 리터럴(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객체 형태) 형태로 선언한다. const { lastN.. 2023. 8. 28. 배열 디스트럭처링 할당 (구조분해할당) 디스트럭처링 할당(구조분해할당) : 구조화된 배열과 같은 이터러블 또는 객체를 비구조화하여 1개 이상의 변수에 개별적으로 할당함을 의미한다. -> 배열과 같은 이터러블(반복되는 것) 또는 객체 리터럴(그냥 { }이렇게 객체 만드는 거)에서 필요한 값만 추출하여 변수에 할당할 때 유용 배열 디스트럭처링 할당 할당문의 우변은 이터러블이러야 하며, 할당 기준은 배열의 인덱스이다. //ES5 var arr = [1, 2, 3]; var one = arr[0]; var two = arr[1]; var three = arr[2]; console.log(one, two, three); // 1 2 3 //ES6 const arr = [1, 2, 3]; const [one, two, three] = arr; // 변수.. 2023. 8. 25. Split( ) const str = "apple banana orange"; const arr = str.split(','); console.log(arr); //[ 'apple banana orange' ] Split( ) :split()메서드는String객체를 지정한 구분자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문자열로 나눕니다. -> 문자열을 'separator'(기준이 되는 문자열)로 잘라서, 'limit' 크기 이하의 배열에 잘라진 문자열을 저장하여 리턴 split(); split(separator); split(separator, limit); //separator : 원본 문자열을 끊어야 할 부분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나타냅니다. //limit : 끊어진 문자열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입니다. //반환값 : 주어진 문자.. 2023. 8. 25. Array.from( ) Array.from( ) 메소드의 역할 : 유사 배열 객체나 반복 가능한 객체를 얕게 복사하여 새로운 Array 객체를 만든다. 기본 형식 Array.from(arrayLike, [mapFn[, thisArg]]) //arrayLike : (length 속성이 있는 객체로 생각하면 쉬움) 배열로 변환하고자 하는 유사 배열 객체나 반복 가능 객체 //mapFn : 배열의 모든 요소에 대해 호출 //thisArg : mapFn 실행 시에 this로 사용할 값 let result = Array.from([1, 2, 3], function(amount) { return this.base + amount; }, { base: 10 }); console.log(result); // [11, 12, 13] 예제 (1.. 2023. 8. 24. 이전 1 2 다음